카테고리 없음
[청년 주거정책비교]역세권 청년주택 VS 서울시 장기안심주택 VS LH청년전세임대 비교분석
highsky
2025. 5. 3. 11:07
반응형
2025년 청년 주거 정책 중 가장 많이 활용되는 제도는 역세권 청년주택, 서울시 장기안심주택, LH 청년전세임대입니다. 이 세 가지는 신청 조건, 지원 방식, 월 임대료, 주택 선택 자유도 등에서 차이가 있으므로, 본인의 상황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1. 기본 개요 비교
항목 | 역세권 청년주택 | 서울시 장기안심주택 | LH 청년전세임대 |
---|---|---|---|
공급 주체 | SH공사·민간 | 서울시 | LH공사 |
주택 형태 | 정해진 단지 입주 | 본인이 계약한 민간 전세 | 본인이 계약한 민간 전세 |
거주 기간 | 최대 6~10년 | 최대 10년 | 최대 6년 |
2. 신청 조건 비교
- 역세권 청년주택: 만 19~39세, 무주택자, 소득·자산 기준 존재 (공공임대형)
- 장기안심주택: 연령 무관, 무주택자, 소득 150% 이하, 자산 3.25억 이하
- LH 청년전세임대: 만 19~39세, 소득 100% 이하, 무주택자
3. 지원금액 및 임대료 비교
항목 | 역세권 청년주택 | 장기안심주택 | LH 청년전세임대 |
---|---|---|---|
보증금 지원 | 없음 | 30~50% 무이자 대출 (최대 6천만 원) | 보증금의 70~95% 지원 (최대 1.2억) |
월 임대료 | 시세 30~90% | 전세금 외 본인부담 없음 | 약 10~15만 원 |
4. 상황별 추천
- 보증금이 거의 없는 경우: LH 청년전세임대
- 교통 좋은 곳에서 저렴한 월세를 원할 때: 역세권 청년주택
- 자금은 있으나 무이자 혜택이 필요한 경우: 장기안심주택
5. 마무리
청년 주거 정책은 자격 요건과 재정 상황에 따라 선택지가 다릅니다. 위 비교를 참고하여 나에게 맞는 정책을 찾고, 모집 일정에 맞춰 빠르게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함께 보면 좋은 글
반응형